hot reloading 2 [리액트] 프로젝트에 웹팩을 적용해보자 #3 (feat.타입스크립트) 2021.07.06 - [개발/리액트] - [리액트] 프로젝트에 웹팩을 적용해보자 #1 (feat.타입스크립트) 2021.07.06 - [개발/리액트] - [리액트] 프로젝트에 웹팩을 적용해보자 #2 (feat.타입스크립트)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액트를 개발하기 위한 webpack-dev-server의 새로운 모습인 webpack serve를 적용하고 핫로딩을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Webpack 4에서는 webpack-dev-server를 설치하여 사용했었다. 하지만 Webpack 5부터는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지 않고 Webpack에서 바로 사용한다.(하지만 아직 공식문서에는 webpack-dev-server를 설치하라고 나와있다. 굳이 필요없다) npx webpack serve.. 2021. 7. 6. [리액트] 프로젝트에 웹팩을 적용해보자 #2 (feat.타입스크립트) [리액트] 프로젝트에 웹팩을 적용해보자 #1 (feat.타입스크립트) 이번 시리즈 "프로젝트에 웹팩을 적용해보자"는 webpack5를 통해 타입스크립트, 리액트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개발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세팅하는 방법에 대한 시리즈이다. 때는 2 all-dev-kang.tistory.com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계속 진행해보겠다. 일단 로그를 보자 webpack mode에 대한 WARNING과 React에 대한 ERROR 있다. 첫번째 WARNING은 webpack.config.js 안에 mode: "development" 값을 넣어서 처리하면 된다. mode를 통해서 development 또는 production 으로 셋팅할 수 있다. 이 값을 통해 API 서버나 테스트 UI 또는 빌.. 2021. 7.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