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6

7년차 개발자의 퇴사 회고 들어가며내 7년의 커리어의 절반을 차지하던 가우디오랩을 떠나게 되었다. 그간의 감정과 경험과 그리고 추억을 담아 더 늦기전에 퇴사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왜 퇴사해요?수많은 동료와 지인들한테 들었던 말이다. "왜 퇴사해요? 요새 힘들어요?"당연히 회사일은 힘들다. 안힘들면 그건 일을 잘못하거나 부족하게 하고 있다는 뜻으로 나는 생각한다. 따라서 회사일은 별일없으면 항상 바쁘게 그리고 빠르게 움직였다. 그러면 다음 질문이 들어온다. "바쁜만큼 성장을 못했나요?"바쁜만큼 성장도 했다. 홀로 개발을 해보다 팀을 만들어보고 팀원이 생겨서 그동안 생각해오던 많은 서브프로젝트를 해볼수 있었다.그러면 마지막 질문이 들어온다 "그럼 퇴사한 이유가 뭐에요?"가식을 다 버리고 말해보자면 "네카라쿠배 네임벨류 달려고요" 라고.. 2025. 10. 12.
CSS blur 한 줄 뒤에 숨은 가우시안 블러의 세계 들어가며유튜브 숏츠를 보다가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에 대한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그리고 갑자기 궁금해졌죠. CSS의 blur는 어떻게 되는가?이번 글에서는 가우시안 블러와 CSS의 blur의 관계와 이를 비교해보는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그럼 시작.블러라고 다 같은 블러가 아니다.일반적으로 디자인 작업을 하다보면 자주 시각적 효과가 있습니다. 바로 blur죠. 흐름효과라고도 하는데요.이 용어는 개발뿐만 아니라 디자인 영역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듯 합니다. 그리고 이는 CSS로 아주 간단히 구현이 가능합니다..my-image { filter: blur(8px);}그런데 이 blur가 단순히 '대충 흐려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내부적으로는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라.. 2025. 8. 19.
Early return은 무조건 좋은 코드가 아니야! 들어가며많은 개발자들이 'early return'을 클린 코드로 가는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예시로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렇구요.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early return이 좋은 선택일까요?특히 객체지향 설계와 비즈니스 로직이 얽힌 상황에서는 ealry return이 좋은 코드는 아닐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alry return에 대한 얘기를 시작으로 이를 객체지향적으로 풀어내는 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그럼 시작.예시 시나리오 ㅣ 장바구니 할인 정책대표적인 예시인 장바구니 시스템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할인 정책이 있으면 할인된 가격을 사용해야하죠. 그게 이 로직의 전부입니다.코드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을 겁니다.interface 할인정책 { calculateDiscount(total.. 2025. 7. 20.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본 Elixir의 Arity와 Clauses에 대하여 들어가며해당 글은 엘릭서를 처음 배우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시선으로 엘릭서를 비교 분석한 글이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에 "Arity"와 "Clauses"에 대해 살펴보자.최근 들어 엘릭서에 대한 학습을 미뤄두다가 exercism에서 엘릭서 모든 문제를 풀어보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풀어재끼고 있다. Elixir on ExercismGet fluent in Elixir by solving 162 exercises. And then level up with mentoring from our world-class team.exercism.org갈 길이 멀다..문제를 풀어보면서 전통적인 프론트엔드 개발자 입장에서 엘릭서라는 언어를 어떻게 살펴보고 다른지 적어보면 좋을듯하여 이렇게 기획하여 작성하고자 한다.프론트.. 2025.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