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개발지식 27 Early return은 무조건 좋은 코드가 아니야! 들어가며많은 개발자들이 'early return'을 클린 코드로 가는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예시로 생각합니다. 저 또한 그렇구요.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early return이 좋은 선택일까요?특히 객체지향 설계와 비즈니스 로직이 얽힌 상황에서는 ealry return이 좋은 코드는 아닐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alry return에 대한 얘기를 시작으로 이를 객체지향적으로 풀어내는 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그럼 시작.예시 시나리오 ㅣ 장바구니 할인 정책대표적인 예시인 장바구니 시스템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할인 정책이 있으면 할인된 가격을 사용해야하죠. 그게 이 로직의 전부입니다.코드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을 겁니다.interface 할인정책 { calculateDiscount(total.. 2025. 7. 20. Web Worker에서 SharedArrayBuffer는 정말 성능을 개선할까? 들어가며최근 챗형과 함께 마셜링(Marshalling)과 언마셜링(Unmarshalling)에 대해 토론을 나누던 중, “Web Worker에서 SharedArrayBuffer를 사용하면 마셜링 과정 없이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SharedArrayBuffer는 스레드 간 복사 없는 메모리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성능 최적화 관점에서 유의미한 도구로 여겨진다. 챗형은 이를 통해 오디오 편집이나 WebAssembly 등에서 병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 중간에 "SharedArrayBuffer를 사용하면 스레드 간 복사 없는 공유가 가능"이 이떠한 이점을 주는지 궁금했고 꼬리 질문을 했더니 다음과 같이 알려준다.음.. 과연 진실일까? 아니면 챗형의 구라일까? 그것이 궁금했다.. 2025. 5. 4. 권한관리 어디까지 해봤니? (RBAC, ABAC, ReBAC) 들어가며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실무에서 접할 수 있는 권한 관리 방법론인 RBAC, ABAC, 그리고 최신 트렌드인 ReBAC을 설명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구현 예시를 통해 권한 관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대상독자는 다음과 같음권한 관리 방법론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복잡한 사용자 권한 관리 체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중급 이상의 개발자면접을 앞둔 개발자권한관리 왜 필요한가?현재 나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API들에 대한 Saas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현재 서비스들은 B2B로도 계약이 된 것도 있고 혹은 개인이 사용하는 B2C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는 니즈에 대해서 응답하기 위해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그래서 로그인과 권한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과.. 2025. 4. 11. [채용] 5년차 개발자의 신입 개발자 면접 회고 들어가며이번 글은 회사에서의 면접 경험, 개인적으로 부탁받은 이력서 피드백 등을 통해 얻게 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저만의 회고를 작성한 글입니다. 반쯤 정신 놓고 쓴 글이라 생각의 흐름대로 적었으니 참고바랍니다.아쉬운 점우리 회사의 AI 연구직을 제외하고 실제 제품을 만드는 개발자는 8명이다. 그리고 5년 차인 내가 막내다. 스타트업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경력들이 있다. 그래서 우리 팀에선 나만 N연차, 다른 팀원들은 1N연차이다. 그러다 보니 다른 팀원들은 본인만의 면접 질문 리스트들이 있다. 물론 이런 리스트들이 사전에 공유되긴 하지만, 내 개발철학과 지식수준에 부합되는 기술 질문 리스트를 만들고 싶었다. 근데 이번에 하나도 만들지 못했다.기술 질문 리스트를 만들지 못한 이유결론부터 말하고 더 이상 .. 2024. 3. 13.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