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llback 2 [리액트] 글로벌한 웹을 향하여 #2(google sheets, 자동화) 들어가며 이전 글에서 구글 시트를 이용하여 i18n에 대응하는 예시를 보여드렸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갑작스레 일어를 추가하자는 요건에 대응하여 기존에 있는 기능을 확장한 방법에 대해 공유하겠습니다. 대상 독자 여러 가지 언어를 대응해야 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개발과 번역을 분리하고 싶은 한글을 사랑하는 개발자 이 글을 읽기 위해선 선행글이 존재합니다. ( 필수는 아니지만 보고 오면 좋아요 ) [리액트] 글로벌한 웹을 향하여 (react-i18next, 다국어지원)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글로벌한 웹을 위해서 react i18n를 적용하는 방법과 나름의 best practice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이 글은 아직 이제 막 프로젝트에 i18n을 던지려는 용기 있는 개발자를 위한 all-dev-kang.t.. 2022. 10. 7. [Next] Susponse, Error Boundary 적용 후기(feat.SWR) 도입부 [리액트] React-query 도입과 Suspense, Error Boundary를 적용 React-query는 왜 도입했는가? 실제로 처음 접한 라이브러리는 react-query가 아닌 swr입니다. 진행하고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가 Next를 사용하고 있고 그래서 자연스레 swr를 도입했습니다. 사용하다 보 all-dev-kang.tistory.com 먼저 위의 글을 읽고 오시면 React-query 또는 SWR을 이용해 Susponse와 ErrorBoundary를 처리하는 구조을 왜 적용하려는 지에 대한 의문이 약간이나마 해소되실 겁니다. 다시 한번 상기해보면 SWR의 useSWR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고 data와 error 주고 해당 값을 통해 상황에 맞는 랜더링을 하도록 예시를.. 2021. 12.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