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bx 2

[리액트] 유령 의존성부터 시작된 yarn berry 도입기 동료 개발자의 기능을 확인하다가 제 환경에서만 동작하지 않는 에러를 발견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제 발생부터 원인 파악, 그리고 해결한 방법. 그다음에 유령의존성이 발생한 이유, yarn berry를 도입하여 휴먼에러를 방지한 후기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문제 발생 문제의 발견은 git pull를 하고 제 컴퓨터에서 yarn start를 한 시점부터 시작됩니다. 특정 기능이 추가돼서 확인차 기능을 사용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와 함께 기능이 동작을 안 합니다. [Mobx] Observable arrays cannot be frozen 해당 에러가 발견된 위치를 추적해보니 immer의 produce를 사용하는 코드에서 발생했습니다. 에러 로그를 보면 Mobx의 Observable arrays는 froze.. 2022. 2. 16.
[리액트] typescript, mobx 에서 private state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mobx 상에 store를 만들어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observable를 통해 만들게 됩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래스형 store에서는 간단하게 makeObservable()를 통해 간단히 만들곤 합니다. import { action, makeObservable, observable } from 'mobx' class Count { number: number = 0 constructor() { makeObservable(this, { number: observable, increase: action, decrease: action, }) } increase = () => { this.number++; } decrease = () => { this.number--; } } .. 2021.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