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러처리 2

[리액트] React-query 도입과 Suspense, Error Boundary를 적용해보자 들어가며 리액트를 하나보면 필연적으로 흰화면에 loading...를 띄우는 경험을 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주로 데이터가 없는 경우 if 문으로 분기처리를 하게 됩니다. 위의 방식이 나쁜것은 아닌데 하나의 컴포넌트에 return 문이 여러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아니면 삼항연산자로 분기처리를 하던가요. 그래서 조금더 리액트스러운 방법을 생각했고 Suspense와 Error Boundary를 통해 개선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경험을 다뤄보도록 할게요. React-query는 왜 도입했는가? 뜬금없이 loading... 처리 얘기를 하다가 갑자기 React-query가 왜 나오냐? 하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하보면 당연히 데이터패칭과 관계될수밖에 없는 것이 주로 loading을 보여줘.. 2021. 12. 15.
[SQL] Column name is ambiguous 에러 처리 후기 다음과 같은 테이블 차트를 만들었다. 해당되는 값을 받아오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형태의 SQL을 만들었다. SELECT TargetColumns FROM ( SELECT ROWNUM AS R, TargetColumns FROM TargetDB ) WHERE R BETWEEN start AND start+pagesize 여기서 TargetColumns는 대상이 되는 컬럼들의 집합으로 "시도", "사고유형","사망자수" 에 해당한다. 처음에는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TargetColumns 들이 "시도", "시도", "사고유형" 처럼 중복된 columns 이 있을 경우, "Column name is ambiguous error"를 내뱉으면 터졌다. 이유는 서브쿼리에서 불러온 TargetColumns과 메인 .. 2020. 10. 5.